조선업 직무 소개 : 생산관리
- 13,855
- 0
- 0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선업 직무 중 "생산관리"에 관해 소개하겠습니다.
생산관리란?
품질/ 납기/ 원가측면에서 최적의 건조 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자세한 업무내용은?
[생산계획]
상선, 해양플랜트의 전사 전략 및 중/장기적 일정을 수립합니다.
수립된 계획에 따라 최적의 생산 체계를 구축하고,
효과적인 생산목표 달성을 위한 생산체계혁신/지원/지도 활동을 합니다.
[생산관리]
가공, 조립, 탑재, 기장, 전장, 도장, 시운전 등 각 공정에 따른 생산관리를 담당합니다.
또한 중/장기 운영계획에 참여하여 목표달성을 위해 공정별 최적계획을
수립, 정도관리를 하여 이의 실행결과를 종합 평가, 반영합니다.
생산단계
01. 가공 : 철판이 입고되면, 녹방지를 위한 전처리 작업과
도면에 따라 필요한 형태로 철판을 절단하는 단계
02. 조립 : 절단된 철판을 이용하여, 레고와 같이 형태를 형성하는 단계
03. 도장 : 조립/의장/탑재 단계에서 발생한 철판의 녹을 제거하고,
도면에서 요구하는사양에 맞게 색을 입히는 단계
04. 의장 : 배관/기계장비/선실인테리어 등 각종 내부 용품을 설치하는 단계
05. 탑재 : 조립된 레고형태의 블록을 최종형태를 갖추기 위해 순서대로 짝을 맞춰가는 단계
06. 시운전 : 전체 형태를 갖추고, 각종의장품이 설치 및 도장이 완료된 상태에서
각종 장비들에 대한 테스트와, 선박/해양구조물이 최종 주문주에게 인도되기 전
시험주행을 하여 문제점을 찾고 보완하는 단계
[생산기술지원]
신규 선종 건조의 계획/검토/Risk 식별하기 위한 초기공법을 수행하고,
중/장기적 일정 단계의 계획 반영사항 검토와 여러 장비들의 설치 stage를 규명합니다.
최적의 생산공법과 생산기술 지원, 개선활동 및 feedback활동을 추진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합니다.
필요 역량은?
현장에서 작업하시는 분과의 원활한 소통, 선주와의 소통
그리고 고객과의 약속은 반드시 지킨다는 신뢰입니다.
또한,
적재 적소에 인력을 배치하고 생산 일정을 맞추기 위해서는
현장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포용해 줄 수 있는 넓은 마음과 솔선수범하는 리더십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