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D분석]UX / UI 디자이너 차이점 직무 분석
- 12,099
- 0
- 0
# UI UX 디자인 차이점
UX (User Experience) 디자인은 사용자 경험을 뜻합니다.
사용자와 제품 및 서비스의 상호 작용을 제품 디자인에 주요소로 고려하는 것을 말하죠. 예를 들어, 디바이스를 설치할 때의 만족함 혹은 불편함을 고려하여 긍정적인 느낌을 주도록 사용자의 경험을 디자인 하는 것을 말합니다.
UI User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 는 디바이스와 사용자가 만나는 면을 말합니다. 사용자가 이용하는 제품 및 서비스를 그래픽 디자인과 기술을 기반으로 시각적으로 나타나는 디자인, 레이아웃, 구조, 아이콘 등을 칭합니다.
쉽게 네이버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UI : UX : 사용자의 욕구 => 네이버를 쓰고싶다
- 검색박스는 상단에 위치 - 사용자를 고려한 배치 (UI)
- 로그인은 우측 상단 - 정보검색은 네이버
- 쇼핑정보는 우측하단 - 메일 확인은 네이버
- 쇼핑은 네이버
UX설계는 사용자의 욕구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반면, UI는 시각적인 요소를 중점으로 사용자와 서비스의 접점을 찾는 것 입니다.
# UX/ UI 디자이너는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
데이터 시대에 접어들면서 T자형 역량 을 지닌 디자이너가 요구되어지고 있습니다. T자형 인재란, 글로벌 기업의 제너럴 일레트릭 (GE)이 정의 낸 개념으로, 자기분야 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까지 폭 넓게 지식을 보유한 인재를 말합니다.
# 디자인 + 데이터 + 비지니스 사고
이전 시각적 아름다움을 중점으로 디자인을 했다면, 이제는 '비지니스'와 '데이터 분석' 을 통해 미 뿐만 아니라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성능적인 부분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 요즘 디자인 전공 중심보다는 심리학, 시각디자인, 국문학, 문화인류, 컴퓨터공학 등 다양한 백그라운드의 인재들을 모아 시너지를 창출하려 합니다. 또한, UX/UI 디자인 프로세스 중, 데이터를 도입함으로서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디자인의 과정이 가설수립 - 데이터 분석 - A/B데스트- 유저의 니즈와 행동을 파악 - 문제점 해결 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 것입니다. 데이터의 도입으로 UI / UX의 경계를 많이 흐려지면서 많은 기업들이 두가지의 역량을 모두 가진 인재를 원하고 있는 것이죠.
# Design , Research 능력
- 사용자 경험 모델링 ( Affinity Diagram, Persona, User Journey Map ) 등 리서치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문제 해결 및 기회 요소 발굴
- 사용자 경험을 둘러싼 거시환경 분석
- 사용자 동기 태도, 니즈 등 사용자 리서치 경험
-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 경험
-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자인에 반영하는 능력
- 시각, 멀티미디어, 산업 디자인, 인간공학 전공 등 관련 분야 전공자
- 복잡한 도메인 제품에 대한 정보구조화 하여 시각화하는 능력 (프로토타이핑)
- Web/App 서비스 이해 능력 등
최근에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의 디자인 역량이 주목되면서 UX/UI 디자이너 또한 프로그래밍 역량이 요구되어 지고 있습니다. (HTML, CSS, js를 이해하고 활용, Adobe XD 등 툴을 활용한 프로토타이핑 , 프레임워크)
IT업무 다양한 직무 더 알아보기
https://www.jobindexworld.com/contents/view/3685
웹 개발자 직무 파헤치기
https://www.jobindexworld.com/contents/view/3745
Back-end / Front-end 비교
https://www.jobindexworld.com/contents/view/4270
카카오 계열사 키즈노트
민병철교육그룹 UX/UI 디자인 채용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