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INDEX] : 오늘의 제약업계 소식(21.12.24)
- 5,898
- 2
- 2
안녕하세요, JOBINDEX 입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IT 세상 속에서 방대한 정보를 일일이 찾아보기 힘든 여러분들을 위해,
잡인덱스에서는 업계별 이슈를 한 눈에 볼 수있도록 모아 전달해 드립니다:)
21년12월24일 금요일, 오늘은 제약업계에 어떤 이슈들이 있었는지 같이 살펴볼까요?😊
👇👇오늘의 제약업계 소식을 보고싶다면 아래의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 업계별 이슈 _ 2021.12.24 (금)
◾ 제약업계
✅ 네이버·카카오가 낙점한 200조 미래먹거리..바로 이 시장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5&oid=008&aid=0004687548
네이버와 카카오가 미래 먹거리로 200조 규모의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을 낙점했습니다. 네이버는 신사옥에 ‘스마트병원’을 구축하고, 카카오는 헬스케어 CIC를 중심으로 공동체 역량을 결집하는데요, 코로나19로 의료 산업에 AI와 빅데이터,클라우드 등 첨단 IT기술을 더한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판단에서입니다.
✅ 美화이자 경구용 치료제 국내 긴급사용 연내 결정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5&oid=029&aid=0002712613
미국에서 화이자의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한 가정내 판매를 허가한 가운데, 국내에서도 먹는 치료제에 대한 국내 긴급 사용 여부가 연내 결정됩니다. 방역당국은 먹는 코로나19치료제가 국내 고위험·경증·중등증 환자뿐만 아니라 재택치료자에 대해서도 사용할 계획인데요, 정부는 앞서 40만4000명분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를 확보하고 있으며 여기에 더해 추가 구매 협상도 진행 중입니다.
✅ 셀트리온헬스케어, 4분기 깜짝 실적 기대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5&oid=015&aid=0004644391
셀트리온헬스케어의 4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5887억원, 922억원으로 추정했는데요, 작년 4분기보다 52.1%와 0.5% 증가한 수치입니다. 컨센서스 대비 매출은 17%, 영업이익은 25%를 웃도는 실적입니다. 본업인 바이오시밀러가 매출을 회복하면서 호실적을 이끌 것이란 판단이며, 4분기 인플렉트라와 램시마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2.3% 늘어난 2418억원으로 추산했습니다.
✅ 코로나 백신 CMO 멀어졌지만..GC녹십자, 희귀질환 치료제 집중한다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9423
GC녹십자가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이 무산된 가운데 주력분야인 희귀질환 치료제 사업에 역량을 모을 방침입니다. 독자 기술로 개발한 헌터라제와 그린진에프가 오랜 기다림 끝에 중국, 일본 판매허가를 획득하면서 글로벌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기업’ 꿈꾸는 종근당, 바이오시장 공략 가속
https://paxnetnews.com/articles/81792
종근당은 현재 빈혈치료제 바이오시밀러 네스벨에 이어 두번째 바이오시밀러 허가를 준비중입니다. 중근당은 지난 7월 식약처에 황반병성 치료제 바이오시밀러 CKD-701에 대한 품목 허가를 신청했는데요, CKD-701은 글로벌 제약사 로슈와 노바티스가 개발한 루센티스의 바이오시밀러로 연 매출액이 4조6000억원에 달합니다.
✅ HK이노엔 ‘케이캡’, 美에 6400억 기술수출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65103
HK이노엔이 의약품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을 기술수출하는 쾌거를 거뒀습니다. 총 계약규모는 6400억 원 규모로 케이캡이 이룬 단일 계약 중 가장 큰 규모인데요, 이번 계약으로 HK이노엔은 계약금과 함께 임상·허가 및 매출 단계별로 기술료를 수령하고, 매출에 따라 로열티도 받으며, 아울러 미국 진출용 케이캡의 원료도 HK이노엔이 공급하는 것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
✅ 2022년 보건의료 R&D예산 1조5000억 지원…감염병·신약 등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65143
보건복지부는 23일 제5차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에서 통합 시행계획 등을 통해 총 1조 4687억원의 2022년도 보건의료 연구개발 예산을 심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2021년 보건의료 R&D 예산인 1조 3285억원 대비 1402억원이 증액된 규모로, 정부 R&D 총예산 29조7770억원의 4.9%를 차지하며 특히 전년 대비 보건의료 R&D 예산 증가율은 10.6%로, 같은 기간 정부 R&D 총예산 증가율인 8.7%를 상회해 보건의료 R&D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의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sk바이오사이언스, 노바백스 코로나19백신 위탁생산 확장계약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5&oid=092&aid=0002243146
sk바이오사이언스는 미국 바이오기업 노바백스가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NVX-COV2373의 원액 생산 및 글로벌 공급을 위한 CMO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는데요, 계약 기간은 내년 12월까지로 SK바이오사이언스는 안동 백신공장 L하우스의 9개 원액 생산시설 중 3개 시설을 NVX-COV2373 생산에 활용하게 됩니다.
💊 "제약업계"인기 Q&A 🙋♀️
*위의 기사들을 읽으셨다면 이런 것들이 궁금하실 것 같아요!🔎
Q. 셀트리온 셀트리온 제약의 차이점은?
👉 https://www.jobindexworld.com/circle/view/11301#answer-11409
Q. 국내 제약회사들은 회사별 규모 차이가 큰가요?
👉 https://www.jobindexworld.com/circle/view/354#answer-675
Q. 제약산업 CRO CMP CSO의 차이점은?
👉 https://www.jobindexworld.com/circle/view/11303#answer-11402
Q. HK이노엔 제약산업의 특성은?
👉 https://www.jobindexworld.com/circle/view/12119#answer-12207
Q. 제약/바이오 기업을 전담하여 진행하시는 헤드헌터의 정보 공유 부탁드립니다.
👉 https://www.jobindexworld.com/circle/view/11151#answer-11260
💊 "제약·바이오" 전문 헤드헌터를 찾고싶어요! 👀
👉내일의 업계별 이슈와 다양한 헤드헌터 분들의 소식을 받고싶다면?
잡인덱스에서 간단한 회원가입 후, 맘껏 즐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