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직무에는 어떤일들이 있을까?[얕고 넓은 직무지식 #23]

  • 17,727
  • 0
  • 2

 

오늘은 요즘 핫한 직무기도 하죠~ UX직무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잘 정리되어 있는 글을 소개해드립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모두 한명이 다 하는걸 좋아해서 보통 UX 디자이너, UX전문가 뭐 이런식으로 뽑으니 좀 구분하기 어려운데 아래와같이 외국계회사들은 업무를 구분해서 채용을 하고 있답니다. 좀 더 세부적으로 구분해볼 수 있겠죠?

 

 

1. UX Designer (User Experience Designer)

UX 디자이너는 일단 상품을 어떻게 느끼는지에 관심을 갖게 됩니다. 어떤 주어진 문제에는 하나의 정답이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UX 디자이너들은 구체적인 사용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다양한 접근을 시도합니다. UX 디자이너에게 가장 중요한 책임은 상품이 한 단계에서 다음으로 넘어가는 논리적 흐름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UX 디자이너가 이것을 하는 하나의 방법은 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사용자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지요. 언어적, 비언어적 잘못된 부분을 확인함으로써, 최고의 사용자 경험을 창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정재하고 반복적으로 업무를 진행하게 됩니다.

Twitter의 Experience design 직무 기술

- 인터랙션 모델, 사용자 테스크 플로우, UI 상세화 정의하기.

- 의사결정자에게 시나리오, 지속적으로 연결되는 경험, 인터렉션 모델, 화면 디자인에 대해 설명하기

- 트위터 시각적 아이덴티티를 기능과 통합하는 Creatice director와 시각 디자이너와 혐업하기

- 디자인 와이어프레임, 목업, 그리고 요구사항 구체화를 개발하고 유지하기

- 결과물: 화면 와이어프레임, 스토리모드, 사이트맵

- 툴: Photoshop, Sketch, Illustrator, Fireworks, InVision

 

 

2. UI 디자이너 (User Interface Designer)

상품의 전체적인 느낌을 신경쓰는 UX 디자이너와 달리, UI 디자이너는 상품을 어떻게 배치할지에 더 특별히 관심을 갖습니다. UI 디자이너는 UX 디자이너가 설계가 경로를, 시각적으로 알려주고 사용자가 제대로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각각의 화면과 페이지를 디자인하는 책임이 있습니다.  또한 스타일 가이드를 만들어야 하며, 상품에 따른 일관된 디자인 표현을 적용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각적 요소들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에러나 경고 상태를 어떻게 제시할지에 대한 행동을 정의하는 것도 UI 디자이너들의 업무입니다.

AirBnB의 UI 디자이너 직무 기술

 - AirBnB.com의 시각적 표현을 컨셉화하고 구현하여 적용하기

- 사이트 스타일 가이드를 만들고 진화시키기

UI 디자이너는 앱의 전체적인 layout과 look&feel을 정의한다. 

- 툴: Photoshop, Sketch, Illustrator, Fireworks

 

 

3. 시각 디자이너 (Graphic designer)

디자이너가 무엇을 하는 사람이냐고 누군가에게 물어볼 때, 가장 첫번째로 떠오르는 것이 바로 시각 디자이너일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시각 디자이너들은 Pixel을 구성하는 사람인데요. 시각 디자이너들은 화면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는, 어떻게 인터랙션 하는지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덜한 대신 아름다운 아이콘을 만들고 시각적 요소와, 적합한 타이포그라피를 사용하는 것에 집중합니다. 시각 디자이너들은 포토샵으로 4, 8배로 화면을 확대하여 조작하는 작은 디테일을 사랑하지요.

구글의 시각 디자이너 직무 기술

- 다양한 해상도의 데스크탑, 웹,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컨셉에서 실행까지 최상의 시각 디자인 제작하기(아이콘, 그래픽, 마케팅 materials).

- 상품에 브랜드를 반영하고, 표현하고 아름다움과 삶을 투영하여 자산을 창출하고 반복하기.

 

시각 디자이너는 최종 결과물이 완벽하도록 매번 pixel 단위로 조정한다. 

- 툴: Photoshop, Sketch

 

 

4. 인터랙션 디자이너 (Motion Designer)

아이폰의 메일 앱을 리프레쉬 하기 위해 잡아당겼을 때, 미묘하게 튕겨지는 애니메이션이 기억나시는지요? 이것이 바로 모션 디자이너의 작업인데요. 정적인 자산을 다루는 시각적 디자이너와는 달리 모션 디자이너는 앱 내부의 애니메이션을 디자인합니다. 즉 사용자가 터치한 후에 무엇이 일어날지를 다루는 것인데요. 예를 들어, 메뉴가 어떻게 미끄러지듯 움직이게 할지, 화면 전환에 어떤 효과를 사용할지, 버튼이 어떻게 펼져칠지를 고민하는 것이죠. 모션은 특히 터치가 가능한 디바이스에서 상품을 어떻게 사용할지 시간적 단서를 제공하는 것으로 인터페이스의 필수적인 부분이 됩니다.

Apple의 인터랙션 디자이너 직무 기술

- 그래픽 디자인, 모션 그래픽, 디지털 아트에 능숙, 타이포그라피, 컬러에 민감, 재료/질감의 인지하기, 애니메이션의 구체적 파악

- iOS, OS X, Photoshop, Illustrator 지식

- 3D 컴퓨터 모델링, 모션 그래픽에 요구되는 Direator, Quartz Composer에 능숙

 

인터랙션 디자이너는 메뉴가 어떻게 펼쳐질지를 결정하는데 책임을 갖는다.

- 툴: AfterEffects, Core Composer, Flash, Origami

 

 

5. UX Researcher (User Researcher)

사용자 리서처는 사용자 니즈(needs)에 챔피언입니다. 리처서의 목표는 '우리의 고객은 누구인가'와 '우리의 고객이 무엇을 원하는가'의 질문에 답을 하는 것인데요. 전형적으로 사용자를 인터뷰하고, 시장 데이타를 분석, 시사점을 발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디자인은 끊임없이 반복의 과정이지요. 따라서 리서처는 어떤 디자인 옵션이 사용자의 니즈를 만족시키기에 최선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A/B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반복의 과정을 돕게 됩니다. UX 리서처는 과다하게 많은 자료에 접근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론을 이끌어내고 새로운 기회를 발굴해야 하는 대기업에 필수적인 직무이지요.

Facebook의 UX Researcher 직무 기술

- 연구 주제를 확인하여 상품팀과 밀접하게 협업

- 사용자 행동과 태도 모두를 다루는 디자인 연구

- 넓고 다양한 정성적 방법과 서베이 같은 정량방법을 사용한 리서치 수행

 

- 결과물: 사용자 퍼소나, A/B 테스트 결과물, 사용자 연구&인터뷰 결과물

- 툴: Mic, Paper, Docs

 

6. Front-end 개발자 (UI Developer)

Front-end 개발자는 상품의 인터페이스 기능 구현을 하는 책임을 갖습니다. UI 디자이너가 정적인 화면을 만들면 움직이고 인터랙티브한 경험으로 전환하는 것을 개발자가 코딩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지요. Front-end 개발자는 모션 디자이너가 제시하는 시각적 인터랙션을 코딩하는 역할도 해야 합니다. 따라서 실제 사용자가 사용하는 Working하기 위한 기능을 구현하는 아주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지요.

- 툴: CSS, HTML, JavaScript

 

 

7. 상품 디자이너 (Product Designer)

상품 디자이너는 일반적으로 상품의 Look & Feel에 관여하는 디자이너를 총칭하는 용어입니다. 상품 디자이너의 역할은 잘 정의되어 있지 않고, 회사마다 조금씩 다른데요. 상품 디자이너는 front-end 코딩, 사용자 조사 수행, 인터페이스, 시각 디자인을 최소한으로 모두 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네요. 상품 디자이너는 처음부터 끝까지 초기 문제를 확인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벤치마킹을 수행하고, 디자인하며, 테스트로 하고, 다른 햬결책으로 이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합니다. 디자이너도 다양한 역할로 나눠짐에 따라 더 유연한 디자인 협업을 원하는 몇몇 회사들은 모든 디자인팀이 UX, 사용자 리서치, 시각적 디자인 역량을 전반적으로 보유하도록 격려하기 위해 상품 디자이너라는 타이틀을 적용한다고도 하네요.

Pinterest의 상품 디자이너 직무 기술

- 디자인의 모든 역량 보유: 인터랙션, 시각, 상품, 프로토타이핑.

- 웹과 모바일에 따른 새로운 기능을 pixel에 완벽하게 목업 제작

 

 

 

업무적으로 보면 보통 UX팀은 크게 비주얼 디자이너들과 전세 UI설계를 하는 디자이너로 나쥐어짐. 특별 전공을 선호하지 않음 (시각디자인, 공학, 인문학 등 다양한 사람들이 포진)  

서비스를 런칭할 때 사업부, 디자인팀, 개발팀, 마케팅팀 운영팀 등 다른팀들과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능력이 중요

 


참고글 :  http://uxd-trend.tistory.com/26 [UXD-Trend]

            http://www.skcareersjournal.com/

`17.04.26(updated. `21.10.13)